전북 도내에서 최근 3년간 진행됐던 전통사찰 시설공사 3건 중 1건이 타지역 업체에게 발주 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업체 선정 권한이 사실상 사찰별 사업자선정위원회에 있다는 점에서 전북도와 불교계가 소통을 통해 도내 업체 육성 지원과 배려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라북도의회 최영규의원은 13일 열린 도의회 5분 발언을 통해 이 같이 지적하며 도내 문화재수리업 지원육성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최 의원에 따르면, 문화재수리업은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일정 요건을 갖춰 등록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전국에는 총 618개 업체, 도내 업체는 49개 업체가 등록되어 있다.
문화재수리업은 일반 건설토목업과 달리 시장이 한정되어 있는 만큼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도내 문화재수리업 발주 건수는 전통사찰 시설공사를 포함해서 3년간 183억 3,600만원 규모로 연간으로는 61억 원 규모에 달한다.
특히 전통사찰 시설공사는 3년간 112억 1,400만원으로 71억 ,2200만원 규모의 문화재 수리 분야보다 시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도내 문화재수리 및 전통사찰 시설공사에서 3건 중 1건이 타 지역업체에게 돌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화장실 개보수와 같이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는 사업들이 대부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가뜩이나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도내 업체를 소외시킬 이유가 없다는 게 최 의원의 주장이다.
실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지난 3년간 진행됐던 도내 전통사찰 시설공사는 총 51건에 112억 1,400만원 규모로 이 중 15건에 36억 1,470만원이 타지역 업체에게 발주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영규의원은 “3년간의 전통사찰 시설공사 51건 중 입찰에 부쳐진 것은 3건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사찰별로 구성되는 사업자선정위원회에 의해 업체선정이 이루어졌다”면서 “사업자선정위원회에서 얼마든지 지역업체 배려가 가능한 만큼 도내 문화재수리업체 지원 육성 차원에서 전라북도와 불교계가 적극 소통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한편, 전통사찰은 문화재수리 대상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도내 지정현황은 118개 사찰로 전국 972개 사찰 중 12.1%를 차지하고 있어 그나마 도내 문화재수리업체가 일정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형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