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여론조사, 민심 잣대인가 왜곡인가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익산지역에서 여론조사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비슷한 시기에 실시된 여론조사가 의뢰자에 따라 결과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면서 지역민들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굵직하거나 특별한 정치적 변수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새로 공표될 때마다 완전 뒤바뀌는 결과로 인해 여론조사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이 팽배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민심을 반영해야 할 여론조사가 여론을 미리 선점하거나 조작하는 정치적 수단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소통뉴스는 의뢰자마다 뒤집히는 결과로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여론조사의 맹점은 무엇이고, 민심을 올곧이 반영할 바람직한 방향성은 무엇인지에 대해 세 차례에 걸쳐 긴급진단한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上 현황-‘천차만별’ 여론조사
中 불신‧혼선-정치적 수단 ‘민심 왜곡
下 방향성-독립적 양심 ‘민심 읽어내야’
익산시장 선거와 관련한 최근 세 차례의 여론조사가 의뢰자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부동층이 다수 존재하는 측면도 있지만 조사방식에 대한 아전인수가 상당하게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에 더욱 무게가 실린다.
일부 여론 조사 전문가들조차도 여론조사 자체가 편향적 설문으로 특정 후보자를 우회적으로 유‧불리하게 할 수 있는 등 객관성‧공정성 잃은 여론조사의 병폐를 지적하고 있다.
여론 조작 가능성 ‘의심’
일부에서는 전화를 이용한 조사 방식의 허점을 노린 여론조작을 의심하는 등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다. 과거 선거 때 불거졌던 여론조사 조작 의혹 사건에 대한 학습효과 영향이기도 하다.
여론 조작의 가능성을 의심하는 측에서는 이런 수법을 지적한다. 대개 유선 전화를 통해 이뤄지는 여론조사에 대비, 자신이 갖고 있는 지지자 명단을 조사기관에 통째로 주거나 지지자들에게 집 전화를 핸드폰으로 연결시키도록 유도하는 수법이 동원된다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지지자들에게 여론조사 시간대를 사전에 알려주는 수법도 있다.
만약 이 같은 불공정 방법 등이 동원됐을 경우 지지 후보에게는 유리하고 경쟁자에게는 불리한 결과가 나올 것이란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여기에 여론조사 기관이 난립,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비용을 어느 정도 들이면 이 같은 불공정 조사를 연출해 줄 기관은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는 게 선거 브로커들 사이에서 나도는 공공연한 비밀이다. 충분히 마음먹기에 따라 여론조작이 가능할 수 있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유리한 설문, 저조한 응답률 ‘신뢰성 한계’
여기에, 보기 순번이나 대표 경력 등이 의뢰 후보에게 유리하게 설정되는 것도 조사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요인 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선거 조사에서 보기 순번이나 대표 경력 등은 단순한 것 같으면서도 매우 중요하고 민감한 부분이다. 후보자를 어떤 위치에 놓았느냐와 설문 때 내건 대표 경력이 ‘친숙 하느냐, 생소 하느냐’에 따라 지지도가 결과가 확연히 달라진다.
실제 세 후보의 경우에서도 다자 후보 가상대결과 안 신당 후보적합도 조사 등 같은 내용의 설문이었지만 보기 위치를 앞에 배치했을 때와 대표 경력을 친숙한 호칭을 사용했을 때 지지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기 순번이나 대표 경력이 조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이다.
저조한 응답률도 조사의 신뢰성을 담보하기엔 역부족이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신뢰성 있는 여론조사 결과라고 한다면 응답률이 최소한 25~30% 이상이어야 한다고 본다.
그러나 익산시장 선거에 도전하는 세 후보가 최근 공개한 여론조사를 보면 그 응답률이 신뢰할 만한 기준치에 훨씬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실제 A후보의 응답률은 5.17%(1007명)에 그쳤으며 B후보 역시 17441명 접촉에 5.83%인 1017명만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C후보는 아예 응답률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조사 대상자 수가 1096명인 것으로 볼 때 C후보의 응답률도 역시 A, B후보의 응답률 수준인 5%대 정도였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처럼 여론 조사 응답자의 수가 워낙 적다보니 몇 명의 답변만으로도 지지도 순위가 뒤바뀔 수 있을 정도로 조사의 정확성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아전인수 홍보 “민심 왜곡 부추겨”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익산시장 선거관련 최근의 여론조사는 신뢰성에 적잖은 맹점을 안고 있다.
그럼에도 유권자들은 조사 결과가 공정성과 객관성이 있는지 살피기보다는 누가 단 1%라도 앞서는지에만 몰두하며, 정작 관심을 가져야 할 각 후보의 정책과 이슈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더 큰 문제는 이 같은 결과가 언론 보도 등 공신력이라는 포장지로 그럴듯하게 덧씌워지면서 유권자들의 판단을 흐리게 해 결국 민의를 왜곡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잘못된 여론조사라고 할지라도 유권자에게는 일정 정도 영향을 주는 것은 틀림이 없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자칫 부정확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다수의 견해에 따라가는 사람들 심리인 이른바 ‘밴드왜건 효과’와 반대로 약자에게 더 쏠리게 되는 ‘언더독 효과’가 나타나 민심 왜곡을 부추기지나 않을까하는 우려감이 비등하다.
그러면 이 같은 의뢰후보에 따라 천차만별인 여론조사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참고하기조차 어렵다’이다. 후보간 격차 분석은 물론 아예 추이를 가늠키 어려울 정도로 의뢰후보에 따라 심한 편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여론조사가 판단에 도움을 주기는커녕 오히려 혼란만 부추기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유권자인 시민들은 연일 보도되는 여론조사 결과에 휘둘릴 필요가 없다. 여론조사란 게 선택을 위한 수많은 참고자료 중 한 가지일 뿐이지만, 최근 여론조사 자료는 내포된 적잖은 맹점 등을 고려할 때 참고할 수준도 못 된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이처럼 작금의 여론조사가 적잖은 한계를 드러낸 만큼 유권자들은 후보자를 판단하는 방안 중의 하나로 정책, 비전 등 역량과 시민과의 소통 능력 등을 관심 있게 보았으면 한다.
조만간 주요 후보들의 경제·경제·복지·사회·교육·문화 분야를 망라한 공약집이 나올 것이고, 후보들의 자질과 역량, 정책 등을 검증하기 위한 TV토론 등도 마련될 것이다.
유권자들은 각 후보의 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토론회 등을 통해 후보들을 스스로 검증하려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한다.
후보들도 자신에게 유리한 조사결과만을 SNS로 퍼 나르는 등 아전인수식 여론몰이에 몰두 할 것이 아니라, 선거까지 남은 기간 동안 유권자의 마음을 잡을 수 있는 정책과 이를 실행에 옮기기 위한 액션플랜을 알리는 데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한 태도이다.
위선이나 가식이 아닌 진정성을 가지고 유권자들과 ‘소통’하는 것(인물)이 당선의 지름길이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