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라북도에서 활발히 논의되는 메가시티 구상에 전북 전체 균형 발전의 핵심 축인 익산의 적극적 참여가 보장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심보균 전 행정안전부 차관은 14일 익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주장하며 익산이 주도하는 전북 메가시티 경제협력 비전과 공공기관 유치 방향을 제시했다.
심 전 차관은 "익산이 전북 전체 균형 발전의 핵심 축이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주권, 새만금권과의 '선(先) 경제협력, 후(後) 행정통합' 접근이 필요하다"며 "산업·물류·투자 유치 등 실질적인 경제협력 사업을 우선 실행하고, 시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행정통합 여부를 검토하는 시민참여형 메가시티 모델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했다.
추진 과정에서는 공개 포럼, 토론회, 공청회를 통한 시민 의견 수렴이 필요하며, 상공인·대학·연구기관·문화관광단체·물류업계 등 다양한 주체가 함께 참여하는 전략위원회 구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핵심 전략으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세제 혜택을 통한 외국인 투자 활성화 ▲국제학교 유치 및 글로벌 인재 양성 ▲바이오·푸드테크·AI 스마트 물류 등 특화산업 육성 ▲혁신도시 공공기관 유치와 지역대학·기업 연계 인재 채용 ▲청년주거·창업 복합단지 조성을 포함했다.
또한, KTX·철도·도로·항만·공항을 연계한 전국 최고 수준의 교통·물류망 구축과 새만금과 직결되는 수출입 체계 강화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성을 언급했다. 장기적으로는 특별지방자치단체 제도를 활용한 광역 협력체로 발전시키고, 중앙정부·전북도·익산시 간 정책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익산은 동서축(62.3Km 전주역-새만금공항역), 남북축(81.0Km 정읍역-논산역)철도계획노선 중심축 및 호남선, 전라선, 군산선이 교차하는 지점으로 사통팔달 교통망과 KTX, 철도 물류 인프라를 기반으로, 항만·공항·새만금과 직결되는 수출입 물류체계를 강화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경제자유구역 지정 시 외국인 투자 활성화, 첨단산업 및 물류 일자리 창출, 지방세 확충, 글로벌 기술 협력 강화 등 다각도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심 전 차관은 “익산이 주도하는 메가시티는 산업·인재·교통·물류가 결합된 전북의 심장이자 세계로 연결되는 경제 허브가 될 수 있다”며, “이는 어디까지나 시민과 전문가가 함께 만드는 공동의 비전이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