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RSS
맨위로

“중부발전은 상공에너지 매각을 즉각 중단하라”…무책임한 공기업 ‘비난’

조국혁신당 익산지역위 10일 성명 “상공에너지 헐값매각 추진, 전북 홀대이자 지역경제·환경 위협” 비판

등록일 2025년07월10일 15시07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중부발전이 익산 제2산업단지에 위치한 자회사 ㈜상공에너지를 사모펀드에 헐값 매각을 추진해 직원들이 강력 반발하는 등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조국혁신당이 “전북 홀대이자 지역경제·환경 위협”이라며 매각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익산의 에너지 기반 공공자산을 공공의 감시와 참여 없이 사모펀드에 넘기는 것은 ‘전북 자존’과 ‘균형발전’의 약속을 스스로 파기하는 것이라는 비판이다.

 

조국혁신당 전북도당 익산지역위원회는 10일 상공에너지 매각 관련 성명서를 내고 “상공에너지룰 사모펀드에 헐값 매각하려는 시도는 낙후된 전북을 또다시 희생시키는 ‘공기업의 지역 홀대’ 전형”이라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먼저, 전북지역 자회사만 선택적으로 매각하는 것은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국정 기조를 훼손하는 것이라는 것.

 

상공에너지는 원래 익산 상공인들이 설립한 회사로, 이후 중부발전이 인수해 공공성을 전제로 운영돼왔다. 그러나 중부발전은 수천억 영업이익을 내면서도 전북 자회사만을 콕 집어 매각하려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매각입찰가가 지분가치의 10분의 1 수준으로 알려져 헐값 매각 논란이 불거졌다.

 

조국혁신당은 “이는 이재명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이라는 국정 기조에 역행할 뿐 아니라, 지역 경제와 고용, 환경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는 사안”이라며, “공기업이 지역경제 기반을 단독 매각 대상으로 삼는 행위는 납득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간 공공기관으로서 적정가격으로 공급을 유지해왔으나, 사모펀드 매각 후에는 수익 극대화를 위한 연료비 인상이 불가피해 익산 기업들의 과중한 부담이 우려된다.

 

현재 상공에너지는 익산 제2산단 내 국도화학, 롯데머티리얼즈 등 11개 기업에 산업용 스팀을 공급하고 있다.

 

조국혁신당은 “이는 지역 내 중소기업의 생산비용 부담을 키우고, 익산 산업기반 전반에 충격을 줄 수 있는 사안”이라며 “매각은 단순한 기업 지분 정리가 아니라 지역 산업 생태계에 직결된 공공기반의 해체”라는 점을 짚었다.

 

특히 직원들의 고용불안을 해소하지 않고 매각을 강행하는 것은 명백한 사회적 책임 회피이며, 지역 고용 안정성 훼손이라는 지적이다.

 

상공에너지의 직원 110여 명은 현재 5년 이상 고용보장을 요구하고 있으나, 우선협상대상 사모펀드는 3년 보장안만을 제시하고 있다.

 

조국혁신당 익산지역위원회는 상공에너지 헐값 매각 문제 해결을 위한 세 가지 방안을 요구했다.

 

먼저, 국회나 공공기관 주도의 실사 없이 단독 매각을 추진하는 것은 무책임한 공기업의 행태로. 익산 상공에너지 매각을 즉각 중단하고, 경영실태 진단을 먼저 실시할 것을 요구했다.

 

또한 연료비 인상, 고용불안, 환경역행 등 지역사회에 미치는 파장을 사전 평가하고 주민 의견을 청취하는 등 지역경제·환경·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사모펀드 매각이 아닌 중부발전, 지방정부, 지역 상공인·산업계가 참여하는 공공성 기반의 컨소시엄 운영 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조국혁신당 익산지역위는 “지역경제와 고용, 환경을 지키는 책임정당으로서, 이번 매각 시도에 대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반대하며, 상생의 대안을 제시하고 행동할 것”이라며 “더불어민주당 등 전북 정치권도 국회 차원의 질의, 국정감사 준비,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 협의 등 실질적 개입에 나서야 한다”고 요청했다.

 

 
정명열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최신뉴스광장

전체 뉴스종합 10대핫뉴스 오피니언

포토뉴스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