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최근 중요하게 다뤄지는 환경교육을 더욱 활성화를 위해선 무엇을 해야 할지 고민하는 토론의 장이 익산에서 마련됐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농업복지환경위원회 김정수 의원(익산2)은 22일 익산 유스호스텔에서 ‘전북특별자치도 환경교육도시 조성을 위한 토론회’을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북환경교육 현안에 대해 관련 주체인 환경교육단체, 행정 등과 함께 심도있는 논의를 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북특별자치도가 환경교육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선 어떤 협력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다른 지자체에선 환경교육을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발표가 오고 갔다.
환경교육도시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22년 처음 도입됐다. 올해 환경부 선정 환경교육도시는 광역지자체 곳(충청북도, 충청남도)과 기초지자체 4곳(서울 은평구·서대문구, 경기 양평군, 경남 김해시) 총 6곳으로, 이들 지자체는 지역 주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환경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선정돼, 현재까지 19개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다.
이날 토론회의 포문은 김인호 전 국가환경교육센터장이 열었다. 김 센터장은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받기 위한 노력과 환경교육도시가 주는 도시의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주제발표 이후 ▲환경교육도시 운영 사례 및 도시의 변화 ▲전북특별자치도 환경교육도시 조성 필요성 ▲전북특별자치도 환경교육도시 추진 계획 ▲성공적인 환경교육도시로 가는 길 등 환경교육도시에 대한 토론의 장이 이어졌다.
토론회를 개최한 김정수 의원은 “이번 토론회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환경교육도시의 역할과 과제를 확인하기 위한 자리다”라며 “지역 환경교육 활성화와 전북 환경교육도시 지정을 위한 한 걸음 도약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