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RSS
맨위로

이춘석 ‘입법 목적 주객전도된 검찰의 DNA채취’ 비판

폭력사범 44%, 강력사범 19.8%‥엄격한 적용기준 마련 요구

등록일 2017년09월26일 15시18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최근 5년간 검찰이 실시한 DNA채취 건수의 절반 가까이가 일반 폭력사범인 반면에 강력범죄사범은 폭력사범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강력범죄사범을 타겟으로 했던 검찰의 DNA채취가 본래 입법목적에서 벗어나 주객이 전도된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춘석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각 범죄유형별 DNA감식시료 채취현황’자료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최근 5년간 실시한 DNA 채취 건수 8만7천344건 중 44%인 3만8천489건이 폭처법 위반 또는 형법상의 상해·폭행, 주거침입, 권리행사방해사범 등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특히 2016년에는 전체 19,656건 중 폭력사범에 대한 채취 건수가 9,686건으로 49.3%에 달했다.

특히 이들 중에는 집회나 시위에 참가했다가 주거침입으로 걸리거나 파업현장에서 빚어진 폭력사건으로 기소된 사람들이 다수 포함돼 DNA 채취가 집회나 파업을 탄압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는 지적이 많았다.

반면, 최근 5년간 살인, 방화, 강간추행 등 강력범죄에 대한 DNA 채취 건수는 17,309건으로 19.8%를 차지해 폭력사범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았다.

검찰이 채취하는 DNA감식시료는 한 개인의 신원에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세대 간에 이어져 내려오는 유전정보까지 포함하고 있어 DNA정보를 국가가 광범위하게 수집하는 것에 대해선 인권침해를 비롯한 다양한 위헌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살인이나 방화, 강간추행과 같은 강력범죄가 나날이 지능화·연쇄범죄화됨에 따라 이런 범죄자들의 DNA신원정보를 미리 확보하여 무고한 용의자를 조기에 배제하고 사건을 신속하게 해결함으로써 피해의 확대를 방지하자는 취지에서 DNA 채취법은 제정되었다.

이춘석 의원은 “DNA채취가 당초 입법목적을 벗어나 파업 노동자들이나 심지어 집회 참가자들에게까지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며, “DNA정보 수집은 인권침해의 소지가 매우 다분한 처분인 만큼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만 이뤄질 수 있도록 엄격한 적용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소통뉴스 정명열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최신뉴스광장

전체 뉴스종합 10대핫뉴스 오피니언

포토뉴스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