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민의 이름으로 수여되는 가장 권위 있는 상인 ‘익산시민대상’이 헌신과 공로를 기리는 뜻깊은 제도의 취지와는 무색하게 관행적 수상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익산시의회 송영자 의원(국민의힘)은 21일 제273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익산시민대상의 후보자 단계부터 특정 부문 편중 심각을 꼬집고, 제도적 개선을 요구했다.
송영자 의원은 “최근 5년간 총 31명의 수상자가 선정됐으나 사회봉사와 효행 부문은 매년 수상자가 배출된 반면, 2023년에는 농업·교육 부문, 2025년에는 산업 부문이 공백으로 남았다”며 “이는 심사 과정 이전에 후보자 단계부터 편중이 고착화된 결과”라고 강조했다.
후보자 현황에 따르면 2022년 28명, 2023년 22명, 2024년 19명, 2025년 11명으로 해마다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효행·농업·친환경 부문은 대부분 1~2명에 불과하고, 산업 부문은 올해 후보 자체가 없었다.
송 의원은 “결과의 편중은 추천 구조의 편중에서 비롯된다”며 “이로대는 공정성과 대표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례 제6조에 따라 시민 추천에는 19세 이상 시민 30명의 연서가 필요하지만 기관장·단체장은 간소한 절차만으로 추천이 가능해 실제 추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면서 “시민 추천은 제도적으로 길은 열려 있으나 현실적으로 좁고 가파른 문턱이 존재하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현재의 추천 구조는 경쟁 없는 단독 후보, 관행적 수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며 제도의 공정성과 대표성을 약화시킨다”면서, 특히 “이러한 상황이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관행처럼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라고 질타했다.
송 의원은 또 “익산시민대상은 상장만 수여되는 반면, 타 지자체는 상금이나 상품 지급, 주요 행사 초청, 시정 참여 기회 제공 등 실질적 예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조례 제10조의 ‘수상자 예우’ 조항을 적극 활용해 상금, 지역 상품권, VIP 초청, 공공시설 이용 혜택 등을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