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RSS
맨위로

익산시, 일부단체 지방채 여론호도 ‘발끈’

기획행정국장 24일 기자회견 "채무, 생산적 투자...재정 압박 없어"밝혀

등록일 2013년01월24일 18시54분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익산시가 지방채와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해 일부 단체가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시 기획행정국 김용범 국장은 24일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익산시의 채무는 생산적 투자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는 시의 재정여건을 감안해 추진돼 재정 압박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현재 익산시의 순수 채무규모는 지방채 3662억 원으로 2034년까지 21년 동안 연평균 174억 원 정도를 상환할 계획으로 시 재정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또한 “특히 인구감소와 도시규모 축소를 방지하기 위해 산업단지를 조성하며 1464억원의 지방채를 발행했고 현재까지 100억 원을 조기상환했으며 2016년이면 전액을 상환할 예정으로 재정 부담으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산업단지 조성을 통해 56개 업체를 유치하고 3만9000여명의 인구유입과 유출방지, 4308억원의 고용창출과 소득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피력했다.

김 국장은 또 “생활폐기물의 악취 해소를 위해 국비 169억원 지방채 595억원, 교부세감액분 등 총 987억원이 투입돼 건립한 신재생자원센터 역시 매년 순세계잉여금을 활용해 원금상황이 가능해 재정압박요인으로 작용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신재생자원센터 소각장 가동으로 생산되는 전기․온수 등을 판매해 매년 17억4000만원 가량의 지방재정을 확충하고 있으며 문화체육센터 운영으로 연 80여만명의 시민이 이용하는 복지 시설로 활용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더불어 “하수관거정비사업, 가축분뇨처리시설, 복합문화센터건립, 모현도서관 건립 등에 사용된 지방채와 민간투자사업은 시의 미래를 위해 추진돼야 할 사업들로 채무액 또한 시의 재정으로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밖에도 “일부 단체가 시의 채무를 양적인 측면만을 부각해 전북도내 14개 자치단체 중 채무액이 가장 높다고 여론몰이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적시했다.

끝으로 “우려와 비판보다는 시의 명운을 건 사업들이 당초 목표대로 달성 될 수 있도록 모든 계층이 힘을 하나로 모아야 할 때라고 본다”고 주창했다.

소통뉴스 정명열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최신뉴스광장

전체 뉴스종합 10대핫뉴스 오피니언

포토뉴스

기부뉴스

여러분들의 후원금으로
행복한 세상을 만듭니다.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현재접속자 (명)